반응형 생각/원칙과 마인드6 워렌 버핏이 부자가 된 비결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투자자, 워렌 버핏.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워렌 버핏이 부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했지만, 오늘은 내가 생각하는 워렌 버핏의 가장 큰 성공 비결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워렌 버핏과 찰리 멍거 며칠 전, 버핏의 오른팔인 찰리 멍거 옹께서 99세를 일기 별세했다. 1930년 생인 버핏 옹의 나이도 올해 만으로 93세. 하지만 두분 다 올해 주주총회에도 직접 출석해서 코멘트를 주고받는 건강한 모습을 보였었다. 이분들이 투자에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가장 큰 비결은 바로 건강이다. 복리의 마법 버핏 옹은 30대 때 이미 백만장자였긴 했지만, 재산의 대부분은 65세 이후에 늘어났다. 65세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은퇴를 생각하는 나이. 그만약 버핏 옹.. 2023. 12. 6. 워런 버핏의 연례 주주서한; 버핏이 전하는 핵심 교훈 4가지 워런 버핏의 주주서한 2월 26일, 워런 버핏이 2022년 연례 주주서한을 공개했다. 이 버핏 할아버지의 주주 서한을 묶어놓은 책이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는 바로 그것! 옛날엔 이걸 받아보기 위해 버크셔 주식을 사는 사람도 있었을 정도였는데 요새는 인터넷에 다 공개되니 세상이 얼마나 좋아진거람? 이 서한은 원래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들에게 보내는 것이다 보니 기업 경영자로서의 방침, 보험업의 구조 등 많은 내용들이 담겨 있는데 그중에서도 우리 같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만 추려서 정리해 보았다. 그럼 바로 가보자고~ 복리와 장기투자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평균 수익률은 무려 19.8%! 사실 주변에 주식 경력이 짧은 주린이들에게 1년 수익률이 20%라고 하면 코웃음을.. 2023. 2. 28. 김학주 교수의 주식 하락장 대처 및 재진입 방법; 분할매수 분할매도 김학주 교수 한동대학교 김학주 교수. 몇 년 전 삼프로tv에 출연해서 처음 봤는데 인사이트가 깊고 날카로워서 그 뒤로 출연할 때마다 챙겨봤다. 네이버에 포스팅도 주기적으로 올려서 꼬박꼬박 챙겨보고 있고, 얼마전에 책도 내서 바로 샀다. 김학주의 40배 수익클럽 2001년부터 2007년까지 7년 연속 자동차산업 베스트 애널리스트를 지냈고, 특히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연속 홍콩 유력 경제지 「아시아머니」 선정 ‘한국 최우수 애널리스트’ 기록, 세계 애널리스트 평가의 또 다른 축인 Institutional Investor에서도 최상위권을 유지한 김학주 교수는 금융투자업계를 떠난 이후 현재까지 6개 기업을 설립해 상장 진행 중이며, 바이오·친환경 신소재·핀테크 분야에 집중하여 창업 행보를 이어가고 .. 2023. 2. 22. 주식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 주식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 슈카월드: 하락장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주식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이다!" 주식을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많이 들어본 말이다. 작년 같은 무지성 상승장에서는 쓸모없는 말이지만, 올해같은 하락장에서는 정말 뼈저리게 와닿는 말이다. 그런데, 저 명언에는 가장 중요한 내용이 빠져있다. "대응을 하려면 대비가 돼있어야 한다." XX층에 사람 있어요 꼭 장이 안좋을 때에는 이런 질문을 받는다. "나 OOO주식 XX층에 ####원 물려있는데 어떡해?" 어떡하긴 뭘 어떡하나? 나도 모른다. ...라고 생각은 하지만, 내가 정이 많아서 계속 듣다보면 대부분 이런 결론에 도달한다. "떨어지면 어떻게 할지는 생각을 안 해봤다..." 이러면 답이 없다. .. 2023. 1. 27.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경우의 수 월드컵 포르투갈전이 있던 금요일 저녁 무렵. 퇴근할 준비를 하는데 뒤에서 이런 말소리가 들려왔다. "우리가 진출하려면, 일단 포르투갈을 2골 차로 이겨야 하고 우루과이가 가나를 이기긴 해야 하는데 또 어쩌고..." 우리나라가 16강에 진출할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있던 것. 그걸 듣고, 솔직히 살짝 웃음이 나왔다. 아니, 가나한테도 지는데 천하의 포르투갈을 그냥 이기는 것도 아니고 2골 차 이상으로 이겨야 한다고? 슈퍼스타 호날두 그리고 그날 자정. 감자튀김과 맥주를 차려놓고 TV 앞에 앉았다. 이기리라는 기대는 전혀 없었고, 그냥 술안주 삼아 축구나 볼 생각으로. 처음 한 골 먹었을 때도 '그럼 그렇지~' 하는 생각으로 넘어갔다. 그런데 잠시 후 .. 2022. 12. 13. 객관적, 중립적으로 생각하기 주식을 왜 하는가? 주식투자를 하는 목적은 다양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 친환경 회사에 투자한다든지,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 자기 회사 지분을 확보한다든지 등... 그런데 대부분은 그저 돈이나 버는 게 목적 아닌가? 바로 나처럼. 그렇다면 당연히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수익이다. 반대로 손해를 끼칠 수 있는 것은 배제해야 한다. 인지 편향은 치명적 투자의 세계는 냉혹하다. 투자와는 관계없는 것들이 투자 의사 결정에 관여한다면 투자 수익률을 갉아먹게 될 가능성이 높다. 즉, 원래 가지고 있던 신념 같은 것들은 투자에서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물론 여기서의 신념은 투자자로서의 신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또는 종교적 신념 같은 것들을 말한다. 특히 정치적 신념이 .. 2022. 12. 9. 이전 1 다음 반응형